본문 바로가기
중학생 추천도서

📘 중학교 국어, 어떻게 준비할까? 『국어 한 권』으로 시작해요!

by 책갈피 요정 2025. 5. 20.
『국어 한 권』 시리즈 표지 – 202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춘 중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작품 안내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맞춘 국어 입문서, 『국어 한 권』 중1 문학

“중학교 가기 전에 어떤 책을 읽으면 좋을까요?”
많은 학부모님과 학생들이 국어 공부를 앞두고 가장 많이 하는 질문입니다. 그럴 때마다 국어 교사들은 이렇게 말하곤 하죠. “책을 읽어야 해요. 특히 교과서 속 작품부터요.” 하지만 막상 교과서를 읽는다는 말에 어색함을 느끼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소개할 책 『국어 한 권』 시리즈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교과서에 실릴 주요 작품을 갈래별로 묶어 쉽게 구성한 도서입니다. 문학과 비문학을 분리하여 읽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중학교 입학을 앞두고 있는 초등 고학년이나 중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님들께 꼭 추천드리고 싶은 책입니다.


문학 편 - 표현ㆍ성장ㆍ갈등을 중심으로

문학 영역 성취기준은 은유, 비유, 상징 등의 표현 기법에 주목하고, 인간의 성장과 갈등을 다룬 작품을 감상하고 창작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1부: 운율·비유·상징 – 감각적인 표현 이해하기
  • 2부: 성장 – 함께 자라나는 이야기
  • 3부: 갈등 – 부딪치며 엇갈리는 삶

예를 들어, ‘운율’ 파트에서는 오규원의 「3월」과 성미경의 「후후후」 같은 시들을 통해 시의 리듬과 감정을 살펴보고, ‘비유’에서는 나태주의 「별빵」을 읽으며 사물에 감정을 투영하는 감수성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성장’‘갈등’ 파트에서는 자전거 도둑, 옥수수 뺑소니, 홍길동전 등 이야기 구조를 통해 인물의 변화와 사건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게 돕습니다. 현덕의  「하늘은 맑건만」에서는 잘못을 숨기려던 문기의 내적 갈등, 문기와 수만이가 돈을 두고 일으키는 외적 갈등을 구분하여 정리되어 있습니다. 장주식 외  「먹고 싶다, 수박」에서는 서리한 수박을 두고 일어난 단짝 친구들 사이의 갈등을 파악하고, 해결 과정을 살피면서 등장인물들의 행동을 비판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인물과 사회의 갈등이 잘 드러난 고전 소설 「홍길동전」 에서는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며 작품을 읽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소설이나 시나리오 같은 줄거리가 있는 문학 작품에서 갈등과 해결이라는 소재는 많이 나오는 요소입니다. 갈등의 진행과 해결 과정 속에서 읽는 사람들은 등장인물의 성격과 심리, 배경, 주제까지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안목을 키우게됩니다. 문학 작품을 읽을 때 갈등을 염두에 두고 감상한다면, 작품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비문학 편 - 정보 요약과 관점 읽기

읽기 영역 성취기준은 글의 구조를 파악하고, 중요한 정보를 요약하거나 글쓴이의 관점을 추론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 1부: 요약 – 간결하고 정확하게
  • 2부: 관점 추론 – 숨은 의도 밝혀보기

학생들이 글을 읽고 단순한 내용을 넘어 글의 목적과 구조를 파악하며,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구성된 점이 인상 깊습니다. 특히 이 부분은 디지털 문해력과 미디어 이해 역량까지 강조하는 최신 교육과정의 방향성과도 잘 맞아떨어집니다.


마무리하며: 『국어 한 권』이 왜 필요할까?

『국어 한 권』 시리즈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맞춰 교과서를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는 최고의 도구입니다. 단순한 선행학습이 아닌, 작품의 감상과 사고력 확장을 동시에 이끌어 내기 때문에 중학교 국어 공부의 기초를 쌓고 싶은 학생들에게 아주 유용합니다. 학생 스스로 문해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어, 부모님이 함께 지도하거나 독서 습관을 들이기 위한 활용서로도 적합합니다. 지금부터 『국어 한 권』과 함께 중학교 국어 공부를 탄탄하게 시작해 보세요.


   📚 출처 및 수록 교과서 목록

    1부 | 문학에 담긴 표현: 비유·운율·상징

작품명 출처 수록 교과서
3월 오규원, 『나무 속의 자동차』, 문학과지성사, 2008. 동아,
비상(박현숙)
천재(노미숙)
천재(정호용)
후후후 성미정, 『엄마의 토끼』, 난다, 2015.
미래엔(민병곤)
태산이 높다 하되 심재완 편저, 『정본 시조 대전』 일조각, 1984.
임형택·고미숙 편저, 『한국 고전 시가선』 창비, 1997
창비교육
묏버들 가려 꺾어 심재완 편저, 『정본 시조 대전』 일조각, 1984.
임형택·고미숙 편저, 『한국 고전 시가선』 창비, 1997
비상(박현숙)
맨드라미 김선우, 『댄스, 푸른 날이면 그림을 그렸다』 창비교육,2018 해냄
별밤에 나태주, 『그리운 날이면 그림을 그렸다』 열림원, 2022 창비교육
자연은 위대한 스승 김하경, 『아침입니다』 시대의 창 2010 천재(노미숙)
열보다 큰 아홉 이문구, 『끝장이 없는 책』 랜덤하우스중앙, 2005
이문구, 『이문구』 돌베개, 2004
비상(박현숙)
하늘의 별 따기 나희덕 외 지음·김이구 외 엮음, 『 의자를 신고 달리는 』 창비교육, 2015 천재(노미숙)
새로운 길 윤동주, 『정본 윤동주 전집』 문학과지성사, 2004
동아
비상(박영민)
오우가 심재완 편저, 『정본 시조 대전』 일조각, 1984
임형택·고미숙 편저, 『한국 고전 시가선』 창비, 1997
지학사,
천재(노미숙)
천재(정호웅)
해냄
아름다운 흉터 이청준, 『아름다운 흉터』 열림원, 2004 해냄

2부 | 함께 자라는 우리: 성장

작품명 출처 수록 교과서
옥수수 뺑소니 박상기, 『옥수수 뺑소니』, 창비, 2017 미래엔(민병곤)
미래엔(신유식)
자전거 도둑 박완서, 『자전거 도둑』, 다림, 2006 동아,
비상(박영민)
어느 날 자전거가 내 삶 속으로 들어왔다 성석제, 『성석제의 농담하는 카메라』, 문학동네, 2008 해냄
나는 보리 김진유, 『나는 보리』, 영화사 진진, 2020 비상(박영민)

 

3부 | 부딪히고 엇갈리며: 갈등

 

 

작품명 출처 수록 교과서
하늘은 맑건만 현덕, 『나비를 잡는 아버지』, 창비, 2009 비상(박현숙)
지학사
창비교육
천재(정호용)
해냄
먹고 싶다, 수박 장주식 외, 『아쩌다 보니 왕따』, 우리학교, 2012 천재(노미숙)
홍길동전 허균, 『홍길동전: 춤추는 소매 바람을 따라 휘날리니 나라말, 2003 동아,
미래엔(민병곤)
미래엔(신유식)
비상(박영민)
아이 캔 스피크 강지연·유승희, 『아이 캔 스피크 영상 대본집』, 북로그컴퍼니, 2017 해냄